성과
01. 넷제로추진협의체 운영
SK에코플랜트는 2040 Net Zero 달성을 위한 전사 차원의 추진력 확보와 신속한 의사결정 및 적용을 위해
넷제로추진협의체를 구성했습니다. 6개 사업 BU(SK에코엔지니어링 포함)와 3개 센터가 협의체 멤버로 참여하고
있으며, 매월 전사 차원의 미팅과 분기별 CEO 결과 보고를 통해 Net Zero 관리체계를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에너지 운영을 위해 현장 특성을 고려한 환경효율성 지표를 운영하고 있으며, 매월 탄소·용수·폐기물·에너지
감축활동을 중점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REC 활용, 현장 Roof-PV 설치, K-EV100, 구성원 탄소감축
프로그램 운영, 저탄소 제품 구매 등 다양한 감축 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1) Net Zero 추진 조직도
이사회, CEO - 의사결정
넷제로 추진 협의체 - 논의
BU·센터, 실행조직·현장 - 실행
02. 온실가스 배출
SK에코플랜트는 Scope 1, 2는 물론, Scope 3 관리를 위해 2021년부터 Scope 3 검증을 확대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총 11개
카테고리(1, 2, 3, 4, 5, 6, 7, 8, 11, 12, 15번)에 대해 검증했습니다. 당사의 환경정보관리시스템(EMIS)은 전사 자원 및 재원 관리
시스템과 연동되어 온실가스 배출량을 투명하게 집계하고 있습니다.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33,242톤으로 전년 대비 381톤 감소하였습니다.
03. 구성원 탄소감축 프로그램
SK에코플랜트는 인당 12kg의 탄소 감축을 목표로 하는 구성원 탄소감축 프로그램을 2022년부터 시행 중에 있습니다.
구성원들은 월별 챌린지 등 다양한 하위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SV포인트를 적립하고 탄소 배출을 감축하는데
동참하고 있으며 구성원들의 활동을 통한 탄소 감축량은 실시간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또한, 적립된 포인트는
아프리카 어린이를 위한 태양광 충전 스테이션 ‘솔라카우’ 설치에 기부됩니다. 2022년 상반기까지 시행하는
프로그램으로는 친환경 다짐, 탄소 Literacy 교육, 텀블러 사용, 저탄소 식단, 잔반 제로, 이메일 다이어트,
사내 중고마켓 등이 있습니다. 2022년 7월 기준으로 당사는 인당 11.2kg, 구성원 전체 55톤의 탄소를 감축하였습니다.
04. 감축 활동
2022년 3월 전사 차원의 Net Zero 추진을 위해 모든 사업 부문의 경영 임원이 포함된 넷제로추진협의체를
발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보다 2.75% 이상 감축을 목표로 에너지
수요관리와 효율적 운영을 위해 각 사업 BU별 현장 Roof-PV를 1개 이상 설치하는 등 현장 환경 효율성
지표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K-EV100을 통한 전기차 전환으로 2021년에는 5톤, 2022년에는
5월까지 3톤 감축하였으며 현장 사무소 지붕에 태양광 발전기를 운영하여 2021년에는 50톤, 2022년에는
5월까지 24톤을 감축하였습니다. 2022년에 최소 4개 이상의 현장 사무소 지붕에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하여
약 200톤을 직접 감축하고, 재생에너지 관련 사업 수익으로 재생에너지인증서를 구매하는 등 감축활동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 외에도, 탄소감축 로드맵 수립 및 저탄소 제품 구매를 통해 Scope 3까지 관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자회사 ESG 경영 고도화의 일환으로 자회사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05. RE100
2021년 재생에너지 사용실적은 2.9GWh로, 녹색 프리미엄 2.8GWh와 태양광발전 0.1GWh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사용량은 총 전력소비량 55.9GWh의 약 5%이며, 2022년에는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약 8%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1) 2022년 감축 목표
2021년 대비 2022년 에너지 감축 목표 테이블 (항목명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tCO2e/매출액 10억원), 용수 취수량 원단위 (m3/매출액 10억원),
폐기물 발생량 원단위 (톤/매출액 10억원), 에너지 소비량 원단위 (GJ/매출액 10억원)), 목표)
항목명 |
목표 |
온실가스 배출량 원단위 (tCO2e/매출액 10억원) |
2021년 대비 2.75% 감축 및 현장 Roof-PV 설치 (1건 이상) |
용수 취수량 원단위 (m3/매출액 10억원) |
2021년 대비 2.75% 감축 |
폐기물 발생량 원단위 (톤/매출액 10억원) |
2021년 대비 9.7% 감축 |
에너지 소비량 원단위 (GJ/매출액 10억원) |
2021년 대비 2.75% 감축 |
2) 2040 Net Zero 로드맵
SK에코플랜트는 2040 Net Zero를 달성하기 위해 기업 운영 방식은 물론, 사업 측면의 혁신과 변화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REC 구매,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K-EV100), Roof-PV 설치, 저탄소 자재 구매, 소각장 CCU·CCUS 적용, 에너지 효율을 개선한
제로에너지빌딩 건축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겠습니다. 2021년 대비 2030년에는 Scope 1 & 2, Scope 3 온실가스 배출을
각 42%, 17% 감축하고 2040년에는 Net Zero에 도달할 수 있도록 단계별 감축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2년부터
SBTi(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의 1.5도, 2도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기반 단기·중장기 목표를 검증받고, 이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속적으로 감축·관리해 나갈 예정입니다.
2022
- Scope 1 & 2 : 33,242톤
- Scope 3 : 약 200만톤
※ 178만톤에 대한 제3자 검증 완료
2030
- Scope 1 & 2 : 42%
- Scope 3 : 17%
감축
※ SBTi의 1.5도, 2도 미만 시나리오에 기반하여 수립한 목표를 검증 예정
scope 1, 2
- 자체 생산 REC 판매기금 등을 활용하여 REC 구매 - REC 구매
- 전기차 누적 10대 전환 목표 - K-EV 100
- 4개 영역 BU 10개 현장 Roof-PV 설치 - Roof-PV 설치
scope 3
- 22년, 전체 구매 레미콘의 29,4%를 저탄소 레미콘으로 구매 예정 - 저탄소 레미콘 구매
- 22년, 자회사 소각장에 CCU 파일럿 설치 예정 및 추후 포집한 탄소를 자원화하기 위해 기술 개발 중 - CCUS 적용
- 24년까지 SK VIEW, SK V1 인허가 시 에너지 자립률 20% 달성을 위한 기술 개발 중 - ZEB 인증 규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