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기술과 솔루션

정책

SK에코플랜트는 지금까지 추진해 온 BM혁신을 발판으로 Tech 기반 Global 사회문제 해결을 통해 경제적 가치(Economic Value, EV)와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SV)를 동시에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합니다. The Zero City의 완성을 위하여 환경, 에너지, 솔루션 분야와 관련된 청정기술 확보 및 개발을 당사의 주요 성장전략으로 설정하고, 사업 포트폴리오 전환 및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환경

AI·DT, 환경기술 및 솔루션을 기반으로 Waste와 Water 문제 해결을 통하여 Net Zero를 동시에 달성 가능한 순환경제 플랫폼 실현을 목표합니다.

환경 테이블 (운영 효율화, Waste to Resource, CO₂ 포집 및 자원화, Waste to Energy)
운영 효율화 AI·DT 기술 및 솔루션을 활용한 Green Platform 구축을 목표합니다.

폐기물 및 수처리 전 생애주기의 관점에서 관리 및 추적 시스템을 만들고 운영 효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경쟁기업과의 차별적 가치를 제공합니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당사 소각로 및 수처리장을 테스트베드로 활용하여 디지털 기반 물류 시스템, 성상 분석 AI 알고리즘, 소각로 및 수처리장 운전 최적화 AI 기술을 개발 및 적용하고 있습니다.

Waste to Resource 밸류 체인 전반의 폐기물 자원순환 생태계 구축을 목표합니다.

AI·DT를 활용하여 국내 1위 수처리 기업인 EMC 사업장을 기반으로 무방류, 재이용, 초순수 등 다양한 수처리 기술, 폐플라스틱 재활용, 탄소 자원화 기술 등을 개발·검증하고 있습니다. 자회사인 TES는 2022년부터 폐배터리 재활용을 통한 리튬 배터리 원료 생산 공장 건설에 착수하여 순환경제 달성을 목표합니다.

CO₂ 포집 및 자원화 소각장 CO₂ 포집 및 자원화(CCU)를 통해 Net Zero 달성을 목표합니다.

2022년에는 소각장에 CO₂ 포집을 위한 CCU 파일럿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023~24년에는 CO₂ 자원화를 위한 상업 플랜트 건설 및 운영 파일럿 사업을 목표로 관련 규제를 검토하고 국내외 CCU 기술업체와 협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Waste to Energy Waste to Energy 기술 상용화를 목표합니다.

보유 자산을 활용한 실증사업 운영을 위해 국내외 스타트업 발굴과 협력 및 글로벌 기업들과 협업을 통하여 WtE 기술요소에 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수소·연료전지, 재생에너지 및 에너지솔루션 분야의 핵심기술을 기반으로 친환경 분산에너지 솔루션 제공을 목표합니다.

에너지 테이블 (연료전지, 재생에너지, 수소, 에너지 솔루션)
연료전지 수소 · 연료전지 발전시장 선도를 목표합니다.

블룸에너지와 함께 탄소배출이 Zero인 수소 직주입 연료전지를 목표로 기술을 실증하고, 효율 향상을 위한 추가 개발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천연가스 기반 연료전지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포집 후 스마트팜과 같은 탄소 수요처에 공급함으로써 배출량을 줄여나갈 계획입니다. 더불어 최적화된 설계를 통해 건설 중 자재 사용 및 발전소 운영 후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해상풍력 산업의 핵심기술 내재화를 통한 국내 해상풍력 발전 활성화를 목표합니다.

고성능 강재 제조 솔루션을 보유한 포스코와 MOU를 맺고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고유 부유체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울산 앞바다에서 추진 중인 사업을 통하여 실증할 예정입니다. 개발 중인 사업들에 확보한 기술들을 적용하며 본격적으로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수소 수소 생산의 핵심기술인 수전해 기술을 내재화하여 수소 시장 선점을 목표합니다.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 전력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기술이 핵심이라고 판단하고, 블룸에너지와 고효율 수소 생산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2년에는 제주도 풍력발전을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되었고, 수소 운송·활용을 위한 기술 연구개발과 투자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솔루션 에너지 공급 플랫폼을 통해 고객의 Net Zero 및 RE100 이행을 목표합니다.

최고 수준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구축한 친환경 분산에너지 자원들을 AI·Cloud 기반의 플랫폼으로 연결하여 에너지를 통합관리, 제어, 최적화할 계획입니다.

솔루션

기후변화 및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글로벌 친환경 EPC Developer를 목표합니다.

솔루션 테이블 (친환경 설계(주택), 친환경 설계(엔지니어링), 친환경 설계(플랜트), 친환경 소재 개발(솔루션))
친환경 설계
(주택)
에너지와 폐기물 분야에 역량을 결집한 에너지 절감형 건축을 통해 친환경 순환경제 실현에 기여를 목표합니다.

제로에너지빌딩 관련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시공 과정에서 친환경 자재 사용과 폐기물 저감 활동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물 생애주기 동안의 탄소배출량을 저감하고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주거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설계
(엔지니어링)
SK그룹의 청정에너지 사업 친환경 EPC 파트너로서 역량을 축적하고 글로벌 친환경 시장을 선점해 나갈 계획입니다.

수소분야에서는 부생수소를 활용한 액화공정 플랜트 사업을 2021년부터 수행 중에 있으며, 천연가스를 활용한 수소생산 공정기술 개발을 위하여 세계 최고 수준의 기업과 협업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 분야에서는 자동차용 배터리, 플라스틱 재활용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초기 설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Oil & Gas 플랜트 사업의 경우, 기존 산업 설비를 친환경 설비로 전환하고 있으며, 향후 관련 기술을 추가 개발하여 친환경 기술 라이센스를 확보할 계획입니다.

친환경 설계
(플랜트)
건설관리기술과 요소기술을 결합한 “FAB Con-Tech 2.0” 추구를 통해 Smart & Green Tech 솔루션 제공을 목표합니다.

상세설계 전 기획단계에서 발주처, 시공사, 협력업체가 함께 협업체계를 구축해 최적의 프로젝트 수행방안을 이끌어내는 선진 건설관리 기법인 프리콘(Pre-construction)을 정착·운영 중이며, 시공 효율화를 위한 모듈 공법, 공장시공 방식 적용을 확대했습니다. 반도체 관련 환경 규제 강화에 대응하고자 설비 운영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 전략 수립, 용수·전력·화학물질 등 자원 투입량 저감, 에너지·폐기물 저감형 첨단 폐수처리, 방류수 재이용률 향상 등 3R(Reuse, Recycle, Reduce) 개념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 개발
(솔루션)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건설소재 개발을 목표합니다.

산업폐기물 및 도시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여 철근, 시멘트를 생산하는 기술과 소각 및 매립 자회사의 유해가스 배출을 저감하고 배출된 유해가스는 수소생산에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rPET 수지와 유리섬유를 원료로 사업경쟁력을 보유한 철근대체 GFRP보강근(“케이에코바”)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건설 분야의 탄소저감 기여와 재활용 가치 확산을 위해 사업화를 진행 중입니다.

SK에코플랜트 기업 부속연구실 Eco Lab 센터

Eco Lab 센터는 CEO 직속기관으로서 각 사업부가 자체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술 개발 과제들을 외부 이해관계자 및 내부 유관기관과 연결하는 친환경 연구개발 생태계 플랫폼입니다. 사업전략과 연계된 C&D(Connect & Development) 전략을 수립하고, 친환경 기술·정책·시장의 동향을 분석하여 C&D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며, 요소기술·시장 분석을 바탕으로 수립된 기술 로드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선도적 환경혁신의 핵심인 Water·Waste·DT 기술을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한편, 공동 R&D를 통해 사업모델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스타트업을 비롯한 친환경 혁신기술·솔루션 파트너를 발굴하고 연결하는 Open Innovation으로 친환경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고, 글로벌 선도업체와의 협력 및 기술 교류를 통해 고객에게 새로운 친환경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신규 환경 사업의 기술검토, M&A 관련 기술평가, 기술·솔루션 기반의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 수행으로 SK에코플랜트 환경 사업의 기술 발굴, 내재화, 컨설팅을 총괄하는 Tech Hub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생태계 구축

친환경 혁신기업·기술에 대한 Open Innovation과 기술·정책 간 네트워크를 통해 친환경 분야 연구개발 생태계 플랫폼을 구축합니다. 국내외 유수 기업, 연구기관, 학계 등과 협업하고 있으며, 한국환경 산업기술원 등의 국가 환경기관과도 협의체를 구성하여 혁신기술을 발굴하고 유망한 기술기업의 Acceleration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기술 개발·솔루션 상업화

선도적인 친환경 기술 발굴과 C&D를 통해 차별적 친환경 혁신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신규 사업 진입을 위한 기술 확보와 함께 기존 Asset Value-up 기술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또한 공공·민간 연구기관과 공동 과제를 수행하고 기술 및 사업모델을 개발하며, 이렇게 확보한 기술과 솔루션의 현장 적용을 통해 상용화를 추진합니다.

디지털 플랫폼과의 융합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디지털 기반 사업모델을 발굴하고, 디지털 솔루션을 적용하여 사업모델을 혁신함으로써 운영 효율성을 증대시켜 기업 가치를 제고합니다.

목표

친환경 사업자로서 본격적인 전환을 위하여 SK에코플랜트는 2021년까지 환경, 에너지, 솔루션 사업에 누적 1.6조를 투자하였습니다. 주요 성과로는 국내 최대 종합환경기업 EMC 인수 및 소각장·매립장 Bolt-on 투자, 세계적인 연료전지 제작사 블룸에너지 지분투자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향후 2년간 총 3.9조 추가 투자(환경·에너지 부문 3.6조, 솔루션 부문 0.3조)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The Zero City 완성을 가속화할 예정입니다.

누적 투자실적 및 목표 (단위:조원)
누적 투자실적 및 목표 (단위:조원)에 관한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솔루션, 환경 및 에너지 2021년 (1.7조), 2022년 (4.5조), 2023년 (5.5조)
환경
  • 국내 소각·매립·수처리 사업 Bolt-on M&A
  • 동남아 폐기물 처리 업체 인수
  • 선진국 중심 E-Waste 재활용 등 순환경제 구현 투자
에너지
  • 블룸에너지 전략적 협력 강화 및 연료전지 글로벌 사업 확대
  • 국내외 태양광, 해상풍력 개발사업 및 자산 확보
솔루션
  • PPP, 데이터센터 등 개발사업 확대

성과

청정기술에 관한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청정기술 R&D 지출 (2021년 기준) - 335억원
특허 건 수 (2022년 누적 기준) - 70건
청정기술 활동 매출 - 매출 20%

이하

  • 페기물 소각(폐열 활용)
  • 폐기물 재활용
  • 수소발전(연료전지)
  • 대중 교통 인프라 구축(철도, 항만, 공항)
  • 수처리, 원자력 발전

이상

  • 녹색건축물

01. 청정기술 적용 분야에 해당되는 R&D 활동

SK에코플랜트는 핵심 사업 추진을 위해 청정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현재 개발 진행 중인(R&D underway) 기술을 공개합니다.

환경 - 오염 저감 및 자원순환 테이블 (소각장 운전효율 개선, CCU/CCUS, 재활용, 하·폐수 처리 운전효율 개선)
환경 - 오염 저감 및 자원순환
소각장 운전효율 개선 소각로 운전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
폐기물 발열량 예측 알고리즘 개발
CCU/CCUS CO₂ 광물탄산화 파일럿 상업 플랜트 건설 및 운영
연료전지 CO₂ 포집 기술 개발
소각장 CCU 적용 실증사업 진행
재활용 소각로 에너지 부산물(스팀/전력) 공급 체계 개발
소각 부산물(바닥재) 재활용
폐배터리 내 흑연 재활용 기술(Eco Graphene) 개발
폐플라스틱 세척장치 개발
배터리 재활용 플랜트 설계 사용 표준화
하·폐수 처리
운전효율 개선
하·폐수 처리장 디지털 솔루션 기술검증
반도체공장 하·폐수 공정 분석 시스템 도입
에너지 - 대체에너지 테이블 (연료전지기술, 수소, 재생에너지)
에너지 - 대체에너지
연료전지기술 수소직주입 연료전지(SOFC) 개발
연료전지 폐열을 활용한 온수 및 스팀 생산 모델 개발
연료전지 폐열을 활용한 냉·난방 기술 개발
연료전지 폐열을 활용한 열전발전 기술 개발
수전해(SOEC) 기술 실증
수소 부생수소, 블루수소 액화공정 플랜트 상용화
재생에너지 음폐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소화가스를 활용한 친환경 연료탄 개발
부유식 해상풍력의 부유체 설계기술 개발
솔루션 - 그린빌딩 테이블 (스마트 건축, 친환경 자재, 녹색건축)
솔루션 - 그린빌딩
스마트 건축 BIM 기반 Engineering 수행을 통한 설계품질 확보 및 도면 자동화
Smart Work Platform 구축을 통한 Data기반 현장 업무 자동화 및 효율성 향상
Cost 투명성 확보를 위한 BIM 기반 물량산출 및 내역산출 System (BCMS) 개발
UAV활용 공사진도 및 토공량 측정 관리 적용
360 Camera + BIM 활용 현장 관리를 통한 Digital twin Data 확보
지능형 BIM 설계 System 구축(설계 자동화, 모델링 현황 검토/분석 소프트웨어 확보 등)
전기 Cable Modeling 자동화
2D 도면 추출 자동화 소프트웨어 성능 개선
설계 정보와 시공 현장 상황을 실시간 비교하는 증강현실 기술 도입
반도체 생산장비 배치 history 관리 체계 web 전환
친환경 자재 기존 철근 대비 탄소가 저감된 GFRP(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Rebar) 철근 도입
저발열&고유동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콘크리트 배합 기준 검토
폐자원 재순환 및 저탄소·경량화 대체건설소재 케이에코바 개발
도시 생활 폐기물을 활용한 탄소저감형 에코 시멘트 개발
구조물 슬림화에 기여하는 풍하중 저감 방음벽 개발
포집 CO₂ 융용물질변환기술을 통한 건설산업소재 개발
녹색건축 일반 건축물 냉난방 부하를 저감하는 커튼월 일체형 외부차양 시스템 개발
공동주택 고단열 Passive 창호 개발
탈부착형 고효율 하이브리드 태양광 개발
LCA측면의 지속가능한 주거모델 개발(Phase I)

02. 친환경 설계

SK에코플랜트는 친환경 설계를 통하여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용수 절감, 자원 절약 및 재활용, 생태환경의 보전, 쾌적한 실내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관리, 폐기에 이르는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서 환경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설계 초기 단계부터 에너지 효율 및 거주자의 쾌적성 향상을 위한 설계·기술 요소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건물의 에너지 요구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Passive Design(배치 및 방향, 건물 고성능 외피 등)과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Active Design(고효율 설비, 조명 등)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BIPV*, 지열,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을 극대화하는 단계별 에너지 통합 설계 프로세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시공 과정에서는 Fast Delivery 및 OSC(Off-Site Construction) 공법을 적용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온실가스와 폐기물 감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건축물의 환경부하를 줄이고 환경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녹색건축 인증과 건축물에너지효율등급인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축물 전 생애주기 동안 발생하는 환경부하에 대한 정보를 평가하는 건축물 전과정평가를 프로젝트별로 진행하여 단계별 환경부하 저감 계획 수립 시 근거가 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System):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제 3자 인증 현황에 관한 이미지 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하단 내용을 참고하세요.
제 3자 인증 현황 (녹색건축인증)
  • 10건 (2021년 전체 프로젝트 대비 76.9%)
  • 9건 (2022년 예상) / 2022년 4월 누적 51건
  • 6건 (2023년 예상)
  • 13건 (2024년 예상)

2022년 4월 누적 51건

03. 친환경 금융조달

SK에코플랜트는 녹색채권, 지속가능채권 등을 활용하여 친환경 투자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녹색채권 3,000억원, 지속가능채권 2,000억원을 발행하여 친환경 투자 재원을 확보하고, 이 중 4,856억원을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물 등의 영역에 적극적으로 투자했습니다. 2022년 상반기에는 1,5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을 발행하였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1) 2021년 친환경 투자 재원 사용 현황
2021년 친환경 투자 재원 사용 현황 테이블 (구분 (신재생에너지, 친환경 건축물, 친환경 기업 인수, 합계), 대상 프로젝트, 사용금액)
구분 대상 프로젝트 사용금액
신재생에너지 연료전지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10건 (161.9MW) 593억원
신재생에너지 업체 투자 18억원
친환경 건축물 친환경 건축물 건설 프로젝트 20건 (3,860,594㎡) 2,407억원
친환경 건축물 건설 프로젝트 (루원시티 2차 SK VIEW) 659억원
친환경 기업 인수 대원그린에너지, 새한환경 등 1,179억원
합계 4,856억원

04. SKIL Demoday

SKIL Demoday는 친환경·신재생에너지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투자·펀딩, 홍보, 협업 등 성장을 지원하여 Open Innovation을 추진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서류 심사와 인터뷰 심사를 거쳐 투자 및 협업 가능성이 높은 기업을 선정한 후 SKIL Demoday를 개최하여 선정된 Top 3 기업에는 상금 지급과 함께 투자 심사대상 자격이 주어집니다. 2021년에는 선발된 8개 기업에 전문가 네트워킹, 테스트 베드 등을 제공하여 사업화를 지원하였고 그 중 두 개 기업에게 총 60억원의 투자가 이루어졌으며, 나머지 6개 기업에게도 투자 또는 협업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SKIL Demoday는 2022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상단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