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SK에코플랜트는 신사업, 투자 뿐만 아니라 ESG 리스크 점검 프로세스를 운영하여 리스크 유형별 사전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정 규모 이상의 리스크는 CEO 및 이사회에 보고하며, CEO의 연간 성과와 함께 이사회에 매년 2회 핵심 리스크
사항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조직도
CEO 및 이사회
CEO 산하 조직 및 Corporate Strategy 센터 (전사의 리스크 관리 컨트롤 타워)
사업 - 마케팅, Operation
투자 - 투자 후 운영
01. 사업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기 위해 리스크 관리 조직은 전 프로젝트 운영 단계에서 이슈와 잠재 리스크를
세부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있습니다. Quality Gate 프로세스를 통해 프로젝트 이슈 점검 협의체를 운영하며,
전사 관점에서 프로젝트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혁신하여 프로젝트 Operation Control 역할을 수행합니다.
1) 마케팅 단계
마케팅 단계에서 사업의 잠재 리스크를 최대한 식별하고, Hedging 방안을 도출하여, 종합적 사업성 검토를 통한 사업 추진 여부 및
참여 규모를 결정합니다. 입찰 초기 단계부터 수주 시까지 각 사업 유형 및 규모, 방식 등을 기준으로 프로세스를 별도 운영하고 있으며
각 단계별로 수립된 RBS(Risk Breakdown Structure)를 바탕으로 유관부서와 수시로 소통하여 사업 리스크를 입체적으로 식별 및 검토합니다.
도출된 리스크 각각에 대하여 원인을 분석하여 핵심 리스크를 선별하고, 이를 단계별 의사결정 시 의사결정권자에게 사전 보고합니다.
이후 마케팅 단계 종료 시까지 각 사업 BU와 유관부서 간의 협력을 통하여 리스크 규모를 최소화하고 리스크 영향의 Zero화를
목표로 지속적으로 노력합니다.
2) Operation 단계
전사 Operation 관리조직의 검토, 평가를 통해 프로젝트 예산의 적정성을 사전에 검증하고 예산관리 시스템을 통해 통제·관리합니다.
프로젝트 운영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에 대해서는 분석 툴을 활용하여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리스크 발현 시 발생원인과 영향 규모를
즉시 확인하고 내부 의사결정 체계를 통해 빠른 시일 내에 최적의 복구 방안을 도출합니다. 또한 프로젝트 종료 후에는 종결보고
프로세스를 거친 뒤 Lessons Learned 사항을 반영하여 다음 사업에서 같은 리스크가 발현되지 않도록 관리합니다.
3) Quality Gate 주요 단계별 의사결정 프로세스
-
QG 0
프로젝트
사전정보 수집
-
QG 1
참여
프로젝트 신청
-
QG 2
프로젝트
참여조건 결정
-
QG 3
프로젝트 계약 및
입찰결과 분석
-
QG 4
프로젝트 수행계획
수립 및 착수준비
-
QG 5
프로젝트 실행
-
QG 6
프로젝트 종결
02. 투자
1) 투자 단계
당사는 투자안에 대해 ESG 리스크를 포함하여 전략적 적합성, 경제성 등을 종합 검토하는 투자심의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투자심의 과정을 통해 해당 투자안의 리스크를 각 담당 조직별로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합니다. 초기 단계부터
ESG 리스크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ESG 리스크를 사전에 인지하여 위험 수준을 낮추며 ESG Controversy를 고려하여 사회적 가치 창출
가능성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ESG 리스크 및 Hedging 방안을 투자심의위원회 상임위원에게 보고하고 2차례에 걸친
투자심의위원회 표결을 통해 가결된 안건에 한하여 투자가 진행되며, 투자 규모가 직전 사업연도 자기자본의 5%가 넘을 경우 이사회의
최종 결의 후에 계약 및 투자가 진행됩니다
2) 투자 심의 프로세스
-
ESG Review 및 심사진행
CEO 승인 후
ESG 리스크를 포함한 실사 진행
-
1차 투자심의위원회
-
2차 투자심의위원회
Top Mgmt.
(CEO, CFO, ESG 센터장,
Corporate Strategy 센터장)
-
이사회
3) 투자 후 운영 단계
투자 의사결정 후 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 산업별 핵심 리스크를 식별 및 평가하고 C-Level(CEO, CFO)에 보고하여 리스크를
완화합니다. 경영기획 담당이 주도하여 소각장·매립장 등 사업특성을 반영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 사업계획 대비 달성률,
변동요인 등을 분석합니다. 또한 리스크 발현 예상 시 연말 추정 손익에 반영하여 관리하며, 중장기적 Value-up 사항을
발굴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합니다.
03. ESG 리스크
SK에코플랜트는 경영환경 분석, 투자자 그룹 분석, 사업전략 및 성과 분석 등을 통해 미래 방향성과 환경·사회·거버넌스 리스크를
도출하고, 사업에 대한 위기 및 기회 요인을 식별하여 리스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2020년부터 환경부문 중심으로 사업이 재편됨에
따라 기후변화 리스크 등이 중요한 사업 리스크로 편입되었으며, 사업 선정 및 투자 시 기후변화의 물리적 리스크는 물론 전환적
리스크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리스크 발현 및 발생 가능성이 인지될 경우 ‘리스크 전담 조직 → 리스크 책임자 → C-Level’ 순서로
보고가 이뤄지며, 리스크 유형에 따라 일별, 월별, 분기별, 반기별 보고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상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안전의
경우 CSO 산하 안전관제센터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하며, 전사 대응이 필요한 비상상황 시에는 위기 종합관리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합니다.